투스카니 6단 미션은 알다시피 DMF (듀얼 매스 플라이휠) 이 들어간다. 


이 플라이휠은 2.0이 2.7용보다 두배 정도 비싸다(과거 74만이었는데 지금 더 올랐다는 이야기가..)  

들리는 말로는 2.7용 미션을 크랭크축을 베타엔진에 맞게 주문제작 해서 단가상승이 되었다는 썰이 있다. (어디까지나 썰) 


플라이휠은 보통 일반적인 일상용 차량들은 교환을 잘 안하지만. 

격한 주행을 즐기는사람들은 마찰열로 인해 브레이크디스크가 변형이 오듯이 

플라이휠에 변형이 온다. 


증상은 클러치페달이 미친듯이 떨리기 시작하고. 미트시점이 고르지 못하며

진동이나 특유의 무거운 금속 떠는소리를 동반한다. 


대략적으로 그러면 부품값만해도 플라이휠 74만에 디스크와 압력판에 릴리즈베어링이나 포크, 와셔같은 부가적인것과 공임까지 포함하면 거진 100만원정도의 비용이 들게된다. 






교환전에 장착되어있던 클러치셋, 9만키로쯤에 인수했는데 

발레오 동압판에 EF플라이휠이 들어가있었다. 



해당 부분에 대해서 튜닝샵들은 어느정도 숙지 하고 있는곳도 있지만. 

모르는곳도 상당히 있으며. 

일반 카센터에서는 부품이 안맞으면 애로사항이 꽃피기 때문에 

확실하게 부품을 준비해가야 한다. 




일단 준비할것은. 

EF 베타 2.0용 클러치디스크셋 

EF 2.0용 플라이휠 플라이휠 (품번 23200 23800)

스러스트베어링

클러치 포크(혹은 포크는 그대로 쓰고 와셔만 주문) 


부가품 : 오페라실린더, 마스터실린더, 브레이크오일(클러치오일)

투카의 경우 우물정을 내리면서 파워스티어링 오일이 빠져나가니 파워오일도 준비 




기어오일은 품번 04300-00140 의 모비스 순정 고급 기어오일이 괜찮다고 하니 이것을 쓰시던가.. 아니면 따로 사시던가.. 

혹은 과격한 주행할거 아니면 카센터 기본 소지한 오일도 상관없을듯. 

양은 넉넉히 3L 정도



부품가게에서 만약 차번호를 달라고 한다면. 

허위매물 없는 중고차 사이트에서 EF 2.0 수동을 검색한후에 차번호를 불러주면 될듯?




일단 플라이휠을 장착하려고 하면 첫 난관에 빠지게 될것이다. 

볼트가 안맞는다. 

DMF와 SMF의 차이로 인한 문제이므로. 볼트를 갈아내야 한다. 


기존에 누가 작업했는지 모르지만. 볼트 길이가 제각각.. 

살짝 걸어보니 서로 장력이 달라 플라이휠에 유격이 생긴다. 

이래서 이스타나에서나 듣던 두터운 철판 떠는소리가 났던것인가.. 





일요일날 나와서 고생중인 한 불쌍한 카센터의 사장.jpg 




만약 사제 동압판을 쓰고싶다면 EF 2.0용 (225mm 클러치셋)을 사면 된다. 

아마 기억이 맞다면..  아마 투카6단용도 결국 225셋을 주겠지만

과거 엑센트/베르나가 200mm 사양

아반떼가 215mm 사양인데. 투카 5단은 아마 아반떼사양인 215로 기억한다.. 

그리고 EF와 XG 투카 6단들이 225인데 엘리사는 크랭크축 PCD가 다르다는거..


만약 엘리사라면 플라이휠을 싸게 하고싶다면 XG 수동껄 사서 쓰면 되고.

대신 스타트모터도 교환해야 하는것으로 알고있다. 





어찌되든 새로 올라간 클러치셋.  만약 달려있던게 DMF였다면 조금 헤멨을려나.. 

어차피 토크때문에 순정은 못끼우고 발레오 사제 플라이휠과 VHR225를 가져가서 끼웠지만..  





어찌되었건 클러치 해결. 아마 폐차할때까지 이제 클러치셋 뜯을일은 없을듯하다. 

다른거보다 전에 작업했던 샵에서 괴발개발로 작업해서 그거때문에 문제된게 컸다. 


특히 튜닝샵들은 규모가 커지면서 꼬마들에게 작업을 시키다 보니. 볼트 하나 박는거도 그냥 나사선 생각 안하고 임팩으로 돌려대거나. 

(이런거 때메 나사선 망가진거 탭내느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위에 볼트와 같이 어찌보단 사소하지만 나중에 문제가 될만한 소리가 있는것들을 너무 대충대충 한다. 


단골 카센터에서 좀 부담스러워 해도 작업을 의뢰한 이유가. 이런 세세한거 하나하나 체크해주면서 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려도 작업 하나는 깔끔하게 된다는거겠지. 


여튼 작업을 해주신 안산 SH모터스 사장님에게 감사를 (...) 

Posted by 마일즈프로워
,

다른것들은 대부분 구글이 해서 나오나, 구글링 해서 안나오는것들을 혼자 뻘짓하며 해결했는데, 저같은 고생들 하시지 말라고 몇가지 추스려보았어요


1. 윈도우10 업그레이드시에 설치 완료후 재부팅 하고 난 후, 설치 실패가 계속 뜬다


한 컴퓨터에선 멀쩡했는데 다른컴퓨터에선 이증상으로 꽤나 애먹었던것중 하나..

MBR 보호기능이 있는 백신을 사용하면 특히 업그레이드 실패가 자주 뜨는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가급적 업그레이드 전에 백신은 삭제하고 업그레이드를 시도하는것을 권장합니다.




2.윈도우10 업그레이드시에 업데이트 다운로드중에서 멈춰있는경우


윈도우7을 설치하고 정품인증 한지 얼마 안된상태에서는 윈도우10을 설치할경우 업데이트가 아직 활성화가 덜된상태에서 그러는 경우가 종종 있느듯합니다.

시작 -> 실행 -> Services.msc  -> windows update  서비스를 중지 시키고서 윈도우 업데이트를 다시 시도하면 서비스가 자동으로 다시 시작되는데, 이경우 업데이트 확인중에서 바로 넘어가기도 했습니다.

그래도 안된다면 미디어제작툴을 이용해 업그레이드를 시도하고, 업데이트 내려받지 않음으로 선택하고 진행해보세요



3. 업데이트는 완료되었으나 사용자 선택에서 먹통되고 진행되지 않거나 혹은 뭔가 로딩되고서 다시 재부팅하고 다시 사용자 선택화면으로 부팅되어서 반복되는경우


윈도우7환경에서 특정 무선랜카드를 사용하고 있는경우 종종 나타나는 현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무선랜카드를 제거하고서 부팅하면 정상 진행될 것입니다만. 무선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것입니다.

부팅완료후 무선랜카드를 연결하고. 장치관리자에서 드라이버를 완전히 삭제해주시고.

제거후 재부팅후 다시 연결해서 윈도우 서버에서 무선랜 드라이버를 다시 받게 하거나.

혹은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최신드라이버로 설치해보세요.

(즉 3DP같은 통합 드라이버 모듈을 사용하지 말라는뜻)




윈도우7 MAK(멀티 인증 키)를 사용하는경우

윈도우10 클린설치가 한방에 불가능합니다.

윈도우10 클린설치를 위해서는 윈도우7을 설치 -> 네트워크 연결 -> 정품인증  ->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 -> 정품인증 -> 클린설치 순서로 진행 해야 하는데.


윈도우7에서 정품인증하고 갓 윈도우10으로 깐 상태에서 PC상에는 정품인증이 되어있는것으로 표시되는것을 보고 바로 클린설치를 해버리면 인증이 날아갈수도 있습니다.

즉, 전산에는 인증이 안된 상태에서 밀어버린게 되는것이죠.

전산에 인증이 올라가는 시기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만. 1-2시간 이내는 아닌것으로..

만약 윈도7->10 업그레이드를 하고 바로 클린설치를 하고싶으시다면,

윈도우10에서 정품인증란에 가셔서 시디키 변경탭을 들어가셔서, 현재 쓰시는 MAK 를 재입력 하고서 다시 인증받고 나면 PC에 시디키가 존속되기 때문에 그 이후에는 클린설치를 하셔도 정품인증이 되어있을것입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것은 MAK를 쓰시는분들을 위한 방법입니다.

일반 프로페셔널이나 홈에디션 개인용 시디키를 가지신 분들은 클린설치시에도 최근 윈도우10 이미지부터는 윈도우7 시디키를 바로 입력 가능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Posted by 마일즈프로워
,




작업은 안산 모토텍에서, ISC는 겸사겸사 직접 

ISC야 볼트 두개 풀면 나오는거니.... 라고 생각했는데 헤드커버에 걸려서 좀 귀찮다 


덤으로 본넷 지지하는 고무 교환하고 AFS 청소까지  

Posted by 마일즈프로워
,